
인프런의 타겟으로 비즈보드 광고 만들어보기 비즈보드 1. 브랜드 및 사이트 이름이 꼭 들어가야한다. 2. 평균 cpc가 0.1%일정도로 클릭이 매우 적다(배너 광고의 특성) 3. 광고 구좌가 매우 작기에 간결하고 눈길을 끌만한 문장과 그와 어울리는 직관적인 사진을 넣어야한다 4. ~가격~ 하면 가격 이렇게 뜸 5. 게재 방법(모든 카카오 모먼트 광고에서도) 일반게제 / 빠른 게재 일반 게재 => 균등 배분(모든 시간대에 예산을 똑같이 배분하여 집행)(da광고에서 사용) 빠른 게재 => 앞 시간대에 광고비가 다 타버리면 시간이 남아도 광고 끝! (소재를 빠르게 테스트 할때 사용) 개인 프로젝트로 선정하였던 기업의 페르소나로 20~30대 남성이였으며 시장 분석을 통해 세부 타겟 =>대학생,취준생,직장인의 특..

검색광고는 키워드를 기준으로 그럼 디스플레이 광고는? DA 입찰의 기회를 얻음 > 입찰 경쟁 > 지면 보일 기회 X SA 키워드당 입찰 > 입찰 경쟁 > 지면 해당 키워드 밑에 보임 또한 DA에서는 균등 배분으로 선택하고 광고를 만들 시 광고비가 과소진될 위험이 있지만 DA는 그런 위험이 덜하다 SA에서는 키워드를 기준으로 경쟁하는데 DA에서는 무엇으로 경쟁할까요? DA에서는 바로 고객들의 집합으로 경쟁을 하는데요. 예를 들어 페이스북에서는 타겟의 관심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주 타겟이 관심 있어할 만한 것들을 선택해서 타겟의 바운더리를 정하는 겁입니다. 이거 관심 있을 것 같은데? 하는 여러 가지의 관심들이 더 많이 겹치는 고객은 세밀 타겟팅이 가능할 것입니다. 세밀 타겟팅이 가능하다 ..

초보자도 따라 할 수 있는 네이버 파워링크 광고 만들기 . . . . . . 네이버 검색광고 만들어 직접 집행해 보기 블로그를 보고 직접 따라 해 보시면 누구든지 광고 집행을 할 수 있게 설명해보겠습니다. 네이버 광고는 크게 계정 > 캠페인 > 그룹으로 나누어집니다. 보시는 것과 같이 순서대로 만들면 됩니다. 계정은 =id 네이버 광고 계정 ID 캠페인 = 파워링크/쇼핑 검색/파워콘텐츠/브랜드 검색/플레이스를 선택하는 겁니다. 그룹 = 세세한 것들(일정, 예산 등) 1. 파워링크와 파워콘텐츠는 비슷한데요. 이 처럼 검색탭에서 검색하였을 때 나오는 링크를 만드는 곳입니다. 검색탭 외에도 다양한 노출 지면을 선택해서 노출할 수 있습니다.(파워링크 유형은 ..

3c기법이란? 마케팅 메세지 도출을 위해 CUSTOMER / COMPANY / COMPETITOR 을 분석하여 마케팅 메세지 도출을 위한 기본 분석 방법이다. customer 자사 서비스를 구매하는 구체적인 고객과 니즈 / 소비행태 및 특징을 파악하고 성별/연령/지역/직업 등으로 세분화하여 고객을 파악하는 형태. 분석으로 도출한 인프런의 코어타겟층 : 20대 남성 / 서브 타겟층 : 30대 남성이었다. 인프런이 행하고 있던 이벤트들이 새해 공부 소망 이벤트, 방학기간 이벤트 등의 기간을 보아 인프런이 타겟하고자하는 고객층이 학생층일 수도 있겠다는 가정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살펴본 자료에서 코딩 강의와 관련된 취업, 이직, 자기 계발로써의 자료조사들이 진행되는 것으로 보아 인프런의 강의를 듣는 고객..

전체적인 흐름을 알아야지 차근차근 하나씩 할 수 있다. 대략적인 마케팅 수립 과정이다. 나도 이 루트를 따라서 분석을 통해 마케팅 전략을 도출할 것이다. 거시적 관점 : 내가 바꿀 수 없는 것들이다(나=자사) 미시적 관점 : 자사가 컨트롤 할수 있는 요인들이다. PEST 분석이란? 거시적인 관점 즉, 자사가 임의로 유도할 수 없는 것들이다. 정치적 요소 : 정치제도/테러 /세금 등이 있다. 경제적 요소 : 인플레이션 / 금리 / 환율 등이 있다. 사회적 요소 : 문화적 요소 ( 일본 불매 운동 등 하지만 일본 불매운동은 정치적 요소에 속할 수도 있다) 기술적 요소 : 스마트폰의 등장 / AI/ 가상현실 등 = 이런 것들을 종합하여 우리가 어떻게 대처하고 미래에 어떻게 마케팅 할 지를 고려하는 것이다. 그..

인스타 알고리즘 알고 시작하기 상대방을 알고 시작하는 것은 승부에서 반이나 이기고 시작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SNS를 시작하여도 SNS의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있어야 열심히 노력한 것이 도루묵이 되지 않는다. 인스타그램 알고리즘을 파악하기 위한 시작! . . . . . . 내가 좋아요를 눌렀거나 댓글을 달았거나 저장을 누른 것과 비슷한 콘텐츠를 인스타그램에서는 추천해준다. 그렇다면 비슷한 콘텐츠 중에서 어떤 것을 추천해주는가를 분석해보았다. 가설) 내 관심사와 비슷한 팔로우 유저들과 팔러우 되어있는 유저를 추천해준다 ( 팔로우하지 않았는데 홈 탭에서 뜬 이유가 피드 밑에 아주 조그마하게 뜬다. 좋아요를 누른 피드와 비슷한 콘텐츠예요/ 팔로우되어있는 ~와 팔로우되어 있어요) 이런 식으로 또한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