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케팅 용어 어디까지 알고 계시나요? 기본적인 용어는 알아야지 다른사람들과 회의할때 원활한 소통이 될 것입니다. CPC(cost per click) :클릭당 비용 = 클릭할 때마다 비용 발생 CPM(cost per mille) : 1000회 노출당 비용 ex) 광고비가 10,000원일때 노출이 500일때 cpm 은 20,000원 CPA(cost per action) : 결과당 비용 = 특정 행동이 발생했을때 비용 발생 (액션을 무엇으로 설정하냐에 따라 다름) CPI(cost per install) : 한 번 설치할 때마다 비용 발생 CPV(cost per view) : 동영상재생당 비용 CTR(click through rate) : (노출대비)클릭률 (클릭수/노출수)*100 =% CVR(conversio..

마케팅 개인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기업을 선정하여 시장분석,타겟팅,경쟁사분석을 통해 마케팅 메시지를 구상한 후에 해당 기업의 디지털 마케팅을 점검해보는 과정이다. 기업분석을 하는 김에 ppt 제안서형식으로 만들어 보기로 하였다. 현재의 과정은 기업을 선정하였다 = 온라인 강의 플랫폼 시장 분석에 들어갔고 해당 기업이 처한 시장의 상황이 어떤지 그 시장도 조금 더 세분화하여 조사하였다. 시장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업이 속한 시장이 어디에 있는지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나는 해당 플랫폼을 일단 온라인 강의 시장을 분석하였다. 온라인 강의 시장을 분석하던 중 이러한 시장을 "이러닝" / "에듀테크"라고 부르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닝과 에듀테크는 자세한 의미로써는 다르지만 상용화되..

-PPT,포트폴리오,보고서 꿀팁 템플릿- 1.닥치고 파워포인트 신프로가 발행하는 블로거이다. 표지랑 목차,간지 페이지에 사용하기 좋다. https://blog.naver.com/shinpro_mail 신프로(shinpro)의 닥치고 파워포인트 : 네이버 블로그 www.papatafactory.com blog.naver.com 2. 노트폴리오 디자이너들의 포트폴리오를 올려놓아서 디자인이 감각적이다. 포트폴리올르 만들때도 참고하기 좋다. https://www.notefolio.net/ 노트폴리오 - 크리에이티브 네트워크 크리에이티브 네트워크 노트폴리오는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아티스트와 디자이너들이 한 곳에 모여 자신의 작품을 공개하고 이야기하는 공간입니다. www.notefolio.net 3. 색감의 조합을..

전체적인 흐름을 알아야지 차근차근 하나씩 할 수 있다. 대략적인 마케팅 수립 과정이다. 나도 이 루트를 따라서 분석을 통해 마케팅 전략을 도출할 것이다. 거시적 관점 : 내가 바꿀 수 없는 것들이다(나=자사) 미시적 관점 : 자사가 컨트롤 할수 있는 요인들이다. PEST 분석이란? 거시적인 관점 즉, 자사가 임의로 유도할 수 없는 것들이다. 정치적 요소 : 정치제도/테러 /세금 등이 있다. 경제적 요소 : 인플레이션 / 금리 / 환율 등이 있다. 사회적 요소 : 문화적 요소 ( 일본 불매 운동 등 하지만 일본 불매운동은 정치적 요소에 속할 수도 있다) 기술적 요소 : 스마트폰의 등장 / AI/ 가상현실 등 = 이런 것들을 종합하여 우리가 어떻게 대처하고 미래에 어떻게 마케팅 할 지를 고려하는 것이다. 그..

인스타 알고리즘 알고 시작하기 상대방을 알고 시작하는 것은 승부에서 반이나 이기고 시작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SNS를 시작하여도 SNS의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있어야 열심히 노력한 것이 도루묵이 되지 않는다. 인스타그램 알고리즘을 파악하기 위한 시작! . . . . . . 내가 좋아요를 눌렀거나 댓글을 달았거나 저장을 누른 것과 비슷한 콘텐츠를 인스타그램에서는 추천해준다. 그렇다면 비슷한 콘텐츠 중에서 어떤 것을 추천해주는가를 분석해보았다. 가설) 내 관심사와 비슷한 팔로우 유저들과 팔러우 되어있는 유저를 추천해준다 ( 팔로우하지 않았는데 홈 탭에서 뜬 이유가 피드 밑에 아주 조그마하게 뜬다. 좋아요를 누른 피드와 비슷한 콘텐츠예요/ 팔로우되어있는 ~와 팔로우되어 있어요) 이런 식으로 또한 오..

PPT "빨리"하는 게 중요한 겁니다. 빨리 하려면 대부분의 기능을 알고 있어야지 효율적으로 가능하고 그래야지 야근 없는 퇴근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전에 사소하지만 알고 넘어가야 할 것들을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1. 원본 데이터를 사용하지 말고 항상 사본을 만들어서 수정해야 한다 (날짜_파일명_이름) 이렇게 만들어야지 파일을 공유하거나 파일이 잘못되어서 찾을 때 유용하다. EX) 팀장님이 XX 씨 그때 그 파일 좀 주겠어요? 그러면 얼른 그 파일을 찾아야 하는데 날짜별로 정리해 놓으면 빨리 찾을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파일이 잘못되어도 하루치만큼만 수정하면 되는데... 그렇지 않다면 절레... 2. 다른 회사에 제출해야 할 때는 그 회사의 톤 앤 매너를 맞추는 것이 좋다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회사마다 ..

온라인 마케팅과 디지털 마케팅은 엄연히 구분 지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온라인 마케팅, 디지털 마케팅 똑같이 온라인에서 마케팅하는 거 아니야?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차이가 분명히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온라인 마케팅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온라인 마케팅은 온라인에 물품을 등록하거나 스토어를 연채로 고객이 찾아오기를 기다리는 겁니다. 즉, 수동적인 자세를 보이는 것이 온라인 마케팅입니다. 반대로 능동적으로 고객을 찾아 발로 뛰는 것이 디지털 마케팅입니다. 온라인 마케팅은 고객이 우리를 찾아오지만 디지털 마케팅은 우리가 고객을 찾아가는 것입니다. 검색을 하다 평소 사고 싶거나 관심사의 물품을 클릭하면 비슷한 종류의 광고를 계속 받아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사이트 쿠키에 자신의..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어떤 데이터를 중요하게 볼 것인지? 어떤 고객 행동을 기준으로 삼을지? 이것 모두 중요하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고객의 데이터가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너무 당연한 말주의) 하지만 신생기업이나 스타트업 중 고객 데이터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회사가 생각보다 많아서 마케터가 입사했을 때 데이터가 없어 처음부터 땅 파는 느낌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렇기에 좋은 키워드를 분석하고 찾아내는 연습이 필요한데 그런 연습을 하는데 스마트 스토어를 직접 운영하는 것은 좋은 방법입니다.(키워드는 특히 네이버에서 중요합니다.) 스마트 스토어를 개설하는 방법은 단순 개설이기에 생략하고 스마트 스토어에서 판매할 아이템을 고르거나 키워드를 분석하기 위한 좋..

여러분은 최근에 구매한 물품이 있으신가요? 모든 분들이 최근에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가 있을 겁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어떠한 여정을 거치고 그 물품/서비스를 구매하셨나요? 우리는 마케터가 될 수 도 있으며 고객이 될 수도 있습니다. 고객 여정을 이해하는 길은 내가 고객이었을 때의 여정을 생각하는 것입니다. 고객이 브랜드에 대해 처음 인지하게 되는 때부터 구매까지의 여정을 뜻하는 용어입니다. 1. 인지,관심 단계 : SNS 광고/DA 광고/유튜브 광고 고객이 필요성을 느껴 직접 찾아 보다가 알게 된 경우도 있을 것이며 타겟팅을 통해 광고를 집행해 고객이 인지하게 되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또한 인지와 관심단계는 같이 진행된다고 봐도 무방합니다.(잠재고객을 만들어 낼 수도 있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