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광고는 키워드를 기준으로 그럼 디스플레이 광고는? DA 입찰의 기회를 얻음 > 입찰 경쟁 > 지면 보일 기회 X SA 키워드당 입찰 > 입찰 경쟁 > 지면 해당 키워드 밑에 보임 또한 DA에서는 균등 배분으로 선택하고 광고를 만들 시 광고비가 과소진될 위험이 있지만 DA는 그런 위험이 덜하다 SA에서는 키워드를 기준으로 경쟁하는데 DA에서는 무엇으로 경쟁할까요? DA에서는 바로 고객들의 집합으로 경쟁을 하는데요. 예를 들어 페이스북에서는 타겟의 관심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주 타겟이 관심 있어할 만한 것들을 선택해서 타겟의 바운더리를 정하는 겁입니다. 이거 관심 있을 것 같은데? 하는 여러 가지의 관심들이 더 많이 겹치는 고객은 세밀 타겟팅이 가능할 것입니다. 세밀 타겟팅이 가능하다 ..

마케팅 용어 어디까지 알고 계시나요? 기본적인 용어는 알아야지 다른사람들과 회의할때 원활한 소통이 될 것입니다. CPC(cost per click) :클릭당 비용 = 클릭할 때마다 비용 발생 CPM(cost per mille) : 1000회 노출당 비용 ex) 광고비가 10,000원일때 노출이 500일때 cpm 은 20,000원 CPA(cost per action) : 결과당 비용 = 특정 행동이 발생했을때 비용 발생 (액션을 무엇으로 설정하냐에 따라 다름) CPI(cost per install) : 한 번 설치할 때마다 비용 발생 CPV(cost per view) : 동영상재생당 비용 CTR(click through rate) : (노출대비)클릭률 (클릭수/노출수)*100 =% CVR(conversio..

여러분은 최근에 구매한 물품이 있으신가요? 모든 분들이 최근에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가 있을 겁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어떠한 여정을 거치고 그 물품/서비스를 구매하셨나요? 우리는 마케터가 될 수 도 있으며 고객이 될 수도 있습니다. 고객 여정을 이해하는 길은 내가 고객이었을 때의 여정을 생각하는 것입니다. 고객이 브랜드에 대해 처음 인지하게 되는 때부터 구매까지의 여정을 뜻하는 용어입니다. 1. 인지,관심 단계 : SNS 광고/DA 광고/유튜브 광고 고객이 필요성을 느껴 직접 찾아 보다가 알게 된 경우도 있을 것이며 타겟팅을 통해 광고를 집행해 고객이 인지하게 되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또한 인지와 관심단계는 같이 진행된다고 봐도 무방합니다.(잠재고객을 만들어 낼 수도 있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