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구글 애널리틱스에서는 어떻게 성과지표를 판단할까?
대표적인 성과지표로서는 OKR과 KPI가 있다.
OKR과 KPI를 혼동해서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엄연히 다른 것이다.
OKR이란?
O(objective) + KR(Key Results)
O : 마케팅 목표를 수립
KR : 팀이 정한 캠페인 목표를 측정할 수 있는 수치
O에 따라 KR은 달라질 것이다.
즉, 우리가 정한 목표에 따라 측정할 수 있는 수치 또한 달라질 것이다.
EX) 홈페이지 유입을 증가시키고 싶어 = 클릭률을 수치로 볼 수도 있을 것이며
구매를 증가시키고 싶어 = 전환율을 수치로 볼 수도 있다.
KPI란?
마케팅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수치이다.
KPI 또한 우리가 정한 목표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것이다.
사전적인 의미는 같은데 KPI와 OKR은 무엇이 다를까?
1.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이 다르다.
KPI는 부서 내의 효율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량적인 지표가 중점이고
OKR은 지표를 기반으로 성장이 중점이다.
EX) 어느 팀이 효율은 높이지는 보고하기 위한 수단 = KPI
주로 스타트업 등에서 우리 문제점을 극복하여 성장하기 위한 하나의 극복하기 위한 목표 = OKR이 쓰인다.
2. 변경 가능의 유무
KPI는 평가가 종료될 때까지 변경하지 못하지만 OKR은 성장하기 위한 하나의 목표이기 때문에
변경 가능하다
OKR = 유동적
KPI = 고정적
GA보고 보는 방법(=ABC 프레임워크)
획득 > 행동 > 전환 의 흐름을 의미하며 고객의 행동에 따라 보고서를 분류한 것이다.
- 획득(Acquisition) = HOW?
유저를 어떻게 획득하였는지 / 이렇게 획득된 유저가 어떤 의미 있는 행동과 전환을 하였는지
이 부분에서는 고객을 어떤 경로(광고)를 통해서 획득하였는지 보여주는 보고서이다.
- 행동(Behavior) = what?
웹사이트에 방문한 유저가 어떠한 요소 때문에 전환이 일이 났는지를 보는 보고서이다.
(또는 어떤 경우에 이탈을 하는지)
- 전환(Conversion)
전환율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저해하는 요소를 분석하고 개선하기 위한 보고서이다.
(시간대, 사용기기, 사용자)
하지만 이 단계는 목표를 먼저 ga에서 설정을 해야지 보이는 보고서이다.
티스토리를 통해 ga를 보시는 분들은 목표를 먼저 설정하셔야 한다.
<페이스북 관련 공부한 것의 기록>
트래픽 : 우리 광고를 많이 볼것 같은 사람들에게 보여줌(클릭율)
잠재 고객 확보 : 설문조사 참여도가 높은 사람들에게 보내줌
메시지 : 페이스북 메신저 광고
카탈로그 판매 : 그사람들이좋아할만한 것들의 카테고리로 다시 광고함
전환 : 전환이 발생이 높은 사람들엑 보여줌(이전의 데이터 =이전에 전환했던 데이터)
트래픽으로 어느정도 쌓인 후에는 전환으로 전환가능
페이스북에서 일일예산으로 설정하면 머신러닝에 적용하기 쉽다.
머신러닝이란 원인과 결과값을 주면 인과관계를 찾아줌
AUDIENCE NEWWORK =어플 쓸 때 나오는 광고?